안녕하세요?
오늘은 해상물류 용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0가지를 설명 드립니다.
기록하다보니 중복되는 경우도 있으니 이해해 주세요^^
선적(Shipment):
선적이란, 화물을 선박에 싣는 일 또는 그렇게 싣은 화물을 일컫는 말입니다.
컨테이너(Container):
컨테이너는, 직사각형 형태의 화물 운반용 박스입니다.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선박에 적재되어 해상 운송이 이루어집니다.
BL(Bill of Lading):
BL은 선적 증서로서, 선박에 실려있는 화물의 소유권과 운송관련 정보를 기록한 문서입니다.
FCL(Full Container Load):
FCL은 컨테이너화물을 일컫는 말로서, 컨테이너 한 개에 화물을 채운 상태를 의미합니다.
LCL(Less-than-Container Load):
LCL은 FCL과 반대로, 화물의 양이 적어서 컨테이너에 채우지 못하는 경우 사용하는 용어입니다.
TEU(Twenty-foot Equivalent Unit):
TEU는 컨테이너 크기의 단위로, 20ft 컨테이너를 1TEU로 계산합니다.
FEU(Forty-foot Equivalent Unit):
FEU는 40ft 컨테이너를 1TEU로 계산합니다.
Charter Party(차터파티):
차터파티는 선박을 전세로 빌리는 계약서입니다.
Demurrage(디머리지):
화물이 입항 후 일정 기간 내에 하역이 완료되지 않을 경우,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.
Detention(디텐션):
컨테이너가 하역이 완료된 후에도 적시에 반납되지 않을 경우,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.
Port of Loading(POD):
선적항이라고도 불리며, 화물이 출항하는 항구를 말합니다.
Port of Discharge(POD):
하역항이라고도 불리며, 화물이 도착하여 하역되는 항구를 말합니다.
Freight Forwarder(화물운송업자):
화물을 해외로 운송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작업을 대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.
Incoterms(무역조건):
국제 무역에서 사용되는 용어로,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책임과 비용 분담을 규정하는 규칙입니다.
ETA(Estimated Time of Arrival):
도착 예정일을 의미합니다.
ETD(Estimated Time of Departure):
출발 예정일을 의미합니다.
BAF(Bunker Adjustment Factor):
연료 비용을 반영한 운임 조정 요소입니다.
CAF(Currency Adjustment Factor):
환율 변동을 반영한 운임 조정 요소입니다.
THC(Terminal Handling Charge):
항구 내에서 화물을 하역, 적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입니다.
ISPS(International Ship and Port facility Security):
국제해상안전법에 따라 항구 및 선박 보안을 강화하는 시스템입니다.
IMDG(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):
해상운송에서 위험물을 취급하는 국제기구로, 위험물의 분류와 운송규정 등을 제공합니다.
Reefer(Refrigerated Container):
냉장 컨테이너를 말하며, 온도 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입니다.
Ro-Ro(Roll-On/Roll-Off):
선박 내부에 차량이나 기계류를 직접 주행시켜 적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
Stowage Plan(적재도):
컨테이너를 선박에 적재하는 위치와 방법을 기록한 문서입니다.
TEU Capacity: 선박이 운반 가능한 TEU 수를 말합니다.
LOA(Length Over All): 선박의 전체 길이를 말합니다.
Beam: 선박의 최대 폭을 말합니다.
Draft: 선박이 수면 아래로 잠수한 깊이를 말합니다.
Deadweight(DWT): 선박이 최대적하될 때 운반 가능한 총 중량을 말합니다.
Gross Tonnage(GT): 선박의 총 톤수를 말합니다.
Net Tonnage(NT): 선박의 순 톤수를 말합니다.
Ballast:
선박에서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항해할 때, 빈 컨테이너나 물을 채워 선체를 안정시키는 것을 말합니다.
Demurrage:
컨테이너가 적하되어 하역이 완료된 후에도 차량이나 기계의 부재 등으로 인해 항구에 계속해서 머무르는 경우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.
Detention: 화주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기간이 계약된 기간보다 길어질 때 발생하는 비용을 말합니다.
Laytime: 하역을 완료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말합니다.
Bill of Lading(B/L): 선적증서로, 선적된 화물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문서입니다.
Container Yard(CY): 컨테이너가 보관되고 적하되는 장소를 말합니다.
Container Freight Station(CFS): 컨테이너화된 화물을 적하하거나 해체하여 보관하는 장소를 말합니다.
Stuffing: 컨테이너에 화물을 적재하는 것을 말합니다.
Stripping: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것을 말합니다.
Freight Forwarder: 국제운송에서 화주와 선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업체를 말합니다.
Carrier: 운송업체를 말합니다.
Port of Loading: 선적항을 말합니다.
Port of Discharge: 하선항을 말합니다.
ETA(Estimated Time of Arrival): 선박의 예상 도착 시간을 말합니다.
ETD(Estimated Time of Departure): 선박의 예상 출발 시간을 말합니다.
LCL(Less than Container Load):
컨테이너 운송 중에 컨테이너 내부에 공간이 부족하여, 화주의 운송물 중 컨테이너 부피의 일부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.
FCL(Full Container Load): 컨테이너 운송 중에 화주의 운송물이 컨테이너를 모두 채우는 경우를 말합니다.
Breakbulk: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화물을 선박에 적재하는 것을 말합니다.
Tare Weight: 빈 컨테이너의 중량을 말합니다.
Gross Weight: 적재된 컨테이너와 함께 측정되는 총 중량을 말합니다.
Payload: 화주가 적재한 실제 화물의 중량을 말합니다.
Reefer Container: 온도 조절 기능이 있는 컨테이너로, 냉동 및 냉장 운송용으로 사용됩니다.
Hazardous Cargo: 운송 중에 화재, 폭발, 유출 등의 위험이 있는 화물을 말합니다.
IMDG Code(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):
해양운송 중 위험물질의 운송에 대한 국제규정을 담은 국제규격서입니다.
Bill of Entry: 수입품에 대한 세관신고서로, 수입 허가와 관세를 결정하기 위해 제출되는 문서입니다.
Bill of Sight:
선적된 화물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부족할 때 사용되는 선적증서로, 수입신고를 위한 기본적인 정보만을 포함합니다.
TEU(Twenty-foot Equivalent Unit): 20ft 크기의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 용적 단위를 말합니다.
FEU(Forty-foot Equivalent Unit): 40ft 크기의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 용적 단위를 말합니다.
Lashing: 선박 내부에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Dunnage: 화물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재, 종이 등의 보조 자재를 말합니다.
Stripping: 선박 내부에서 컨테이너로부터 화물을 내리는 과정을 말합니다.
Stuffing: 선박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Demurrage: 컨테이너를 늦게 반납하여 선사가 겪는 추가 비용을 말합니다.
Detention: 컨테이너를 지연하여 선사가 겪는 추가 비용을 말합니다.
Free In/Out (FIO): 선사가 선적항 및 하선항에서의 실적과 탑재 작업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운임 조건을 말합니다.
Liner Terms: 운임, 선박 사용 기간 및 적재 용량 등이 포함된 해운 운임 조건을 말합니다.
Through Bill of Lading: 물류 운송의 모든 단계에서 사용되는 총체적인 운송증서를 말합니다.
Multimodal Transport: 물류 운송의 다양한 모드(해상, 항공, 육상 등)를 통합적으로 이용하는 운송 방식을 말합니다.
Intermodal Transport:
물류 운송에서 물류 운송 수단이 변경될 때마다 운송과정이 중단되지 않고 진행되는 운송 방식을 말합니다.
Freight Forwarder: 화물을 물류 운송에 적합한 형태로 포장, 적재, 운송하는 일련의 작업을 대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.
Carrier: 물류 운송을 담당하는 선사나 항공사를 말합니다.
Shipping Agent: 해운 운송과 관련된 서류 작성, 입출항 처리 등을 대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.
Freight Rate: 운송 용량, 거리, 시간 등에 따라 책정되는 운임 비율을 말합니다.
Port of Loading: 선적항으로 물류 운송이 출발하는 항구를 말합니다.
Port of Discharge: 하선항으로 물류 운송이 도착하는 항구를 말합니다.
Transshipment: 물류 운송 중간에 물류 운송 수단이 변경되는 것을 말합니다.
Charter Party: 전 선박 또는 일부 선박을 대여하여 운송을 수행하는 계약서를 말합니다.
Break Bulk Cargo: 대형 화물이나 비교적 소량의 화물을 컨테이너 대신 직접 선박에 적재하는 화물을 말합니다.
Deadweight Tonnage (DWT):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중량을 말합니다.
Gross Tonnage (GT): 선박의 내부 부피와 크기를 기준으로 계산된 총 톤수를 말합니다.
Net Tonnage (NT):
선박의 운송용 공간을 나타내는 톤수로, 선박의 총 톤수에서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톤수를 제외한 값입니다.
Bill of Lading (B/L): 물류 운송에서 사용되는 운송 증서로, 화물의 소유자 및 물류 운송의 세부 사항을 기재합니다.
Container Yard (CY):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보관하는 창고를 말합니다.
Container Freight Station (CFS):
컨테이너화되지 않은 화물을 컨테이너에 적재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창고를 말합니다.
Container Terminal: 컨테이너화된 화물을 적재, 하역하고, 보관하는 시설을 말합니다.
Reefer Container: 온도 제어가 가능한 컨테이너로, 식품, 의약품 등을 운송할 때 사용됩니다.
Dry Container: 온도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일반적인 컨테이너로, 가전제품, 섬유, 전자제품 등을 운송할 때 사용됩니다.
ISO Container: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사이즈와 형태를 갖춘 컨테이너를 말합니다.
Hazardous Material (HazMat):
인간과 환경에 위험을 일으키는 물질로, 국제적으로 분류가 되어 있으며, 물류 운송 시에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IMO Number: 선박 식별 번호로, 국제해사기구(IMO)에서 발급합니다.
Freight Insurance: 물류 운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화물 손상이나 분실에 대비하여 가입하는 보험입니다.
Demurrage: 선적 또는 하선이 지연될 경우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입니다.
Detention:
물류 운송 중에 컨테이너가 차지하고 있는 터미널에서 일정 시간 이상 보관될 경우 추가로 지불해야 하는 비용입니다.
Free Time: 컨테이너가 터미널에 도착하여 적재 또는 하역되기 전까지의 무료 기간을 말합니다.
Intermodal Transport: 물류 운송에서 두 개 이상의 운송 수단을 연결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
Inland Waterway Transport: 내륙 강, 호수 등을 이용하여 물류 운송을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
Air Waybill (AWB): 항공 운송에서 사용되는 화물 운송 증서로, 화물의 운송 경로, 수령인 및 세부 사항을 기재합니다.
Customs Clearance:
국제 물류 운송에서 관세청에서 요구하는 수입 또는 수출 관련 서류를 제출하고, 관세 및 세금 등을 납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.
Incoterms: 국제 물류 운송에서 사용되는 용어로, 물류 운송 계약 시에 양측이 준수해야 할 규정을 말합니다. CIF, FOB, DDU 등이 대표적인 Incoterms입니다.
India SCMTR 규정 변경 (0) | 2025.01.30 |
---|---|
세계 3대 운하 (0) | 2023.05.14 |
디텐션 비용(Detention charge) (0) | 2023.05.03 |
Free Time (0) | 2023.05.02 |
Terminal Handling Charge (THC) (0) | 2023.04.28 |
댓글 영역